
만찬에는 우리측에서는 최종문 2차관과 유연철 기후변화대사 등이, 미국측에서는 Robert Rapson 주한대사대리와 2명의 특사 선임보좌관 등이 참석하였다.
정 장관과 케리 특사는 2050년 탄소중립 목표 실현을 위한 국제사회 연대 및 협력을 결집하는데 있어 양국의 선도적 역할이 필요하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 하고 한미 간 기후대응 소통과 협력을 지속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이와 관련, 미국이 주최하는「기후정상회의(Leaders Summit on Climate)」(4.22.∼23., 비대면)와 우리나라가 주최하는 「2021 P4G 서울 정상회의」(5.30.∼31., 비대면)가 상호 시너지를 창출하여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11.1.∼12., 영국 글래스고)의 성공적인 성과 도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협력하기로 하였다.
한편, 지난 4.13.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 관련, 정 장관은 우리 정부와 국민의 심각한 우려를 미측에 전달하고, 향후 일본이 국제사회에 보다 투명하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미측이 관심을 가지고 협조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정 장관은 우리나라의 코로나 방역상황의 엄중함을 감안, 백신확보를 위한 협력도 당부하였다.
정 장관과 케리 특사는 지난 3월 두 차례의 전화통화를 가진 후 이번에는 직접 만나 대화를 가진바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한·미 간 기후협력 체제를 보다 공고히 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다.
[저작권자ⓒ 투데이1.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