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에 시행사 취소로 회수한 계약금 등 2351억 지역환원 요구
운정3지구 사전청약(사청)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17일 GTX운정중앙역 인근 잔디공원에서 집회를 열고 사청 피해자의 정당한 권리 회복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회수한 시행사 계약금 등의 사회 환원을 촉구했다.
18일 비대위는 사전청약 피해를 최소화하고 또 그에 따라 야기된 내 집 마련의 기회 상실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단히 지금까지 달려왔다면서 운정3지구 사전청약 피해자와 파주시민의 요구가 담긴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날 집회에서 비대위 최동혁 위원장은 "현재 사전청약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는 파주 운정 3지구 주상복합 1~6블럭 단지 위주로 비대위 활동이 이뤄지고 있으나 전체를 대변하기에는 부족한 상태라서 이젠 주복을 품은 물향기마을을 포함해 운정 3지구 및 운정신도시 주민 모두의 참여가 필요한 시간"이라며 전체의 참여를 당부했다.
그러면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운정3지구 GTX운정중앙역 역세권 특별개발계획 경쟁입찰을 통한 땅장사로 주상복합아파트(주복) 사전청약 사업이 취소 및 해약되면서 계약금 1181억 원을 회수했고, GTX운정중앙역을 중심으로 한 일대 상업부지도 해지되면서 880억 원이 회수 예정이며 일대 업무복합용지를 포함한 추가 이익까지도 예정돼 있다"고 밝혔다.

이어 "상업·업무용지를 포함해 총 2351억 원이 피해자와 지역사회에는 아무런 환원없이 사라질 위기"라며 "따라서 이 자금을 운정중앙역 역세권개발과(특별계획구역) 운정3지구 개발(지하공공보행통로, 공원,도서관, 공공시설 등에 실제로 기부채납 및 환원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최 위원장은 "비대위는 이 자리에서 성명서를 지역구 국회의원과 소통을 진행하는 자리에 비대위 서명과 운정중앙역세권 개발 의지를 함께 전달할 예정"이라며 "비대위 활동은 현안 해결을 넘어 아이들과 가족 그리고 운정신도시의 미래를 위한 일이기에 LH가 독식할 수도 있는 2351억 원을 지역 개발과 발전에 실제로 환원될수 있도록 운정신도시 지역 주민 전체가 함께 해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투데이1.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