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프·AI·모빌리티·컬쳐·에코 등 5대 '고양 노믹스' 박차
공연·전시·스포츠·방송영상 등 한국형 스튜디오도시로
“이제는 집이 아니라, 산업이 도시를 이끌어야 한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민선8기 3주년 기자회견에서 'G-노믹스 5개년 계획'을 발표하며 산업 중심 도시로의 전환을 본격 선언했다.

9일 고양시 문예회관에서 열린 이날 행사에서 이 시장은 “허공에 탑을 쌓을 수는 없다. 경제를 살리려면 기반부터 바꿔야 한다”며 “지난 3년은 그 기반을 다지는 데 온전히 쏟은 시간이었다”고 돌아본 후 "지난 10여 년간 공동주택 2,100여 건, 오피스텔 77건이 허가되며 도시 과밀과 정체가 심화됐다"고 진단하며 "이에 민선8기에는 공동주택 35건, 오피스텔 1건 등 주택 허가를 대폭 줄이는 대신 산업·교통·생태 등 도시의 골격 재편에 속도를 냈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킨텍스 제3 전시장과 일산테크노밸리를 착공하고 GTX·서해선·교외선 등 철도망을 확충하고 창릉천과 공릉천 생태 복원도 본격화하는 한편 교육발전특구, 벤처 기업육성촉진지구, 미니수소도시 등 전략 구역이 새롭게 지정됐다"고 밝혔다.
이동환 시장은 "재정 기조도 모두에게 나누는 선심성 예산 대신 꼭 필요한 곳에 집중하는 전략 재정으로 선회하면서 공모를 통해 4,700억 원 규모의 국·도비를 확보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행정 운영 방식도 실용 중심으로 전환됐다. 이 시장은 "지난 3년 간 130여차례 각 동을 찾아 직접 시민을 만났고, 현장에서 접수한 435건의 민원 중 78%를 해결하거나 처리 중"이며 "'직소민원의 날' 등 현장방문도 대폭 확대해 이 같은 적극적인 시정에 대한 시민의 긍정적인 평가가 민선8기 1년 차 61.8%에서 올해 77.4%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 시장은 무엇보다 "지금이 고양의 미래를 결정지을 '본격적인 빌드업(Build-up)의 시간"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고양시 전역을 블루존(첨단산업), 레드존(주거), 그린존(생태·미래산업)으로 재편하고, △점프노믹스 △AI노믹스 스모빌리노믹스 스페스타노믹스 △에코노믹스 등 5대 전략을 추진하는 'G-노믹스 5개년 계획'을 발표한다"고 비전을 제시했다.
이 시장은 "산업 중심도시를 창릉천·공릉천·장항습지를 연결한 '블루 트라이앵글'로 연계하고, '녹지 100 프로젝트'와 5분 내에 고양의 경관을 느끼는 '5분 뷰 체계'를 통해 도시와 자연을 함께 복원할 계획"이라면서 "여기에 경기북부 최초의 수소생산기지, 분산에너지 특화지구 (JDS지구)도 조성해 친환경 미래도시의 기반을 확장할 방침"이라고 큰 그림을 제시했다.
이동환 시장은 “결론적으로 이제 주민들은 주거지만 많은 도시는 원하지 않는다”며 “급변하는 시대 상황에 대응하려면 산업도시로의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G-노믹스 5개년 계획'은 철학이나 이론으로 그치는 것이 아닌 사실상 도시전환을 위한 고양시의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투데이1.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