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보고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요금 인상과 수입구조 개선에 따라 상하수도 공기업의 재무건전성은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수도는 평균 10.2%의 요금 인상과 원인자부담금 도입으로 수익 구조가 다변화되고 있으며, 하수도는 연 10%의 요금 인상을 통해 경영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여전히 20년 이상된 상수도관 1,026km(49.5%)와 하수도관 1,433km(72%)의 정비, 복선화 등 대규모 투자가 지속 필요해 재정적 부담이 존재한다. 2026년도에만 상수도 분야 210억 원, 하수도 분야 274억 원의 예산이 소요될 예정이다.
고양시 상하수도사업소에서는 이러한 재정여건을 고려해 경영개선 방안으로 ▲ 유수율 제고 및 수선교체비 절감을 통한 생산원가 절감 ▲ 원인자부담금 제도 정비 및 요금 징수 체계 강화 ▲ 국·도비 보조금 및 공모사업을 통한 외부재원 확보 ▲ 연도별 투자비 재분배 및 집행률 제고 ▲ 스마트 통합관망관리 및 인공지능 기반 운영체계 도입 등을 제시했다.
또한 요금 누락 방지를 위한 상하수도 요금 연계 및 체납 관리 강화, 하수 방류수 재이용 검토 등 환경·재정적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상하수도 공기업의 경영효율화와 체질 개선을 통해 시민에게 안정적인 물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재정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투데이1.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