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연장 42.7㎞·총사업비 2조506억 원…2034년 개통 목표
고양·파주·양주·의정부·남양주 연결…이동 시간 대거 단축
경기도가 경기북부 지역의 교통 혁신과 대개발을 선도할 '경기북부 중심 고속화도로' 건설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이 사업은 고양시에서 남양주시까지 이동 시간을 기존보다 98분 단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총연장 42.7km, 사업비 2조 506억 원 규모의 도민참여형 민자사업으로 추진된다. 2034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기북부 중심고속화도로는 수도권 제1·2순환고속도로 사이 동·서축을 연결하는 고속화도로로, 고양· 파주·양주·의정부·남양주 등 5개 시를 잇는다.
서울~문산, 서울~양주, 세종~포천, 하남~남양주~포천 등 남북축 고속도로 4개 노선과 연계해 경기북부의 공간 구조를 기존 4개 격자형에서 8개 격자형으로 세분화한다. 이를 통해 지역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고 고속도로 접근권이 확대된다.
또한 자유로, 강변북로, 하남~남양주~포천 고속도로 등과 연결되는 경기북부 순환도로망 역할도 기대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5일 의정부시 민락국민체육센터에서 열린 민생경제 현장투어 ‘달달버스’ 행사에서 이번 사업의 세 가지 특징을 강조했다.
첫째, 경기도가 주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국가 재정에 의존하지 않고 신속하게 진행한다는 점이다. 둘째, 기존 개발 후 교통망 확충과 달리 도로를 먼저 건설해 개발을 촉진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셋째, 국민 펀드를 도입해 도민이 직접 투자하고 수익을 공유할 수 있는 혁신적인 재원 조달 모델을 적용한다는 점이다.
김 지사는 “대한민국에서 도로를 국민 펀드로 운영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경기도의 힘으로 교통 대변혁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경기북부 중심고속화도로를 이용하면 고양시 원당동에서 남양주시 진접읍까지 이동 거리가 기존 78km에서 51km로 줄고, 통행 시간은 2시간 22분에서 44분으로 대폭 단축된다. 통행 속도도 시속 33km에서 68km로 향상된다.
도로개선을 통해 중증 응급환자 골든타임 확보, 관광지 접근성 향상, 물류비용 절감 등 다양한 경제적 효과를 낳을 것으로 전망된다. 경기도는 약 2조 2498억 원의 경제 효과와 9650명의 고용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사업은 민간투자사업 방식으로 추진되며, 도민 펀드를 도입해 민간 수익 독점 구조를 탈피하고 도민이 직접 투자해 수익을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재정 부담을 줄이고 민자사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기도 관계자는 “이번 고속화도로 건설은 경기북부 지역의 오랜 교통 인프라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 균형 발전과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면서 “경기도의 힘으로 경기북부의 길을 열겠다”는 의지를 밝히며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편 경기도는 내달부터 사업 제안서 접수를 시작하며, 민간 투자사들의 참여 여부가 사업 추진의 중요한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투데이1.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