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이번 방문은 2020.9월 산업부가 발표한 『에너지혁신기업 지원전략』에 따라 추진한 사업화 R&D의 성과를 확인하고, 탄소중립 시대를 이끌어갈 유망 에너지 기업을 발굴하는 첫 번째 현장행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스탠다드에너지는 이차전지, ESS, 전기차충전시스템 등을 개발·생산하는 기업으로 산업부 『기술혁신형강소기업육성사업』 과제의 주관기관에 선정되어 바나듐이온배터리(VIB) 기술의 사업화(2021, 양산 시작)에 성공한 바 있다.
아울러, 혁신기술을 바탕으로 소프트뱅크벤처스로부터 1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2021.4월)하고, 세계경제포럼(WEF) ‘테크놀러지 파이오니어 2021’(2021.6월)에 선정되는 등 우수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에너지혁신기업 대표들은 공공조달과 연계한 판로 확대, 에너지혁신기업-대기업-공기업간 긴밀한 협업체계 및 동반 성장 생태계 구축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더불어 수요관리(DR), ESS,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신산업 분야에 대한 금융지원과 사업 경제성 제고방안 마련을 요청했다.
박기영 산업부 2차관은 2022년 에너지 전환 및 에너지신산업 육성을 위한 예산(정부안)을 전년 대비 2.7% 증액할 방침이며, 탄소중립 시대에 걸맞는 에너지 신사업모델 창출·육성 정책을 마련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민간 투자 촉진 및 공공조달과 연계한 시장 규모 확대를 위해 에너지혁신기업-벤처캐피탈-대기업-공기업간 민간 협의체 구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탄소중립은 국가와 기업의 생존을 위한 시대적 과제이자 혁신기술 확보 시 무한한 시장선점 기회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하면서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산업·에너지 탄소중립 R&D 전략 수립(2021.11월 발표 예정)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투데이1.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