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문 연구자와 인문단체, 대학·연구소 등 연구기관, 도서관·박물관 등 문화시설, 작가, 출판사 등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으며 지역의 인문자원을 연구ᆞ조사해 ▲ 온라인 전시와 ▲ 가상현실·게임 연계 콘텐츠, ▲ 3차원(3D) 몰입형 사용자 환경(인터페이스), ▲ 쌍방향(인터랙티브) 응용프로그램 형태의 전자책(앱북), ▲ 플랫폼, ▲ 전자지도 등 창의적인 디지털콘텐츠를 개발하면 된다. 세부주제와 효과적인 디지털콘텐츠 형태 등 구체적 사업계획은 신청자가 자유롭게 수립할 수 있다.
심사를 거쳐 선정된 총 8개 내외의 사업 과제에는 1단계로 연간 5천만 원 이내의 연구·개발비를 지원하고, 연구·개발 종료 후 중간평가를 거쳐 '22년에는 2단계 콘텐츠 개발비를 지원한다.
사업 참여 신청서는 4월 13일부터 26일까지 관련 서류와 함께 전자우편으로 접수하면 되며, 최종 선정 결과는 5월 20일에 발표할 예정이다. 자세한 신청 방법과 일정, 제출 양식 등은 출판진흥원 누리집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 사업을 통해 그동안 축적된 인문자원의 창의적 활용 방안은 물론 인문학과 디지털 미디어ᆞ정보통신기술(ICT)의 다양한 결합 사례를 제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투데이1.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