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들의 먹거리 안전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높아지면서 2006년 GAP 인증제도 도입 이후 GAP 생산.유통기반이 확대되고, 국민들의 GAP 인증에 대한 신뢰도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① 2020년 GAP 인증농가는 ’19년(99천호) 대비 15.4% 증가한 114천호로 전체 농가(1,007천호)의 11.3%를 차지하였다.
② GAP 관리시설은 890개소로 ’19년(817개소) 대비 8.9% 증가하였다.
③ GAP농산물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는 지속적인 홍보를 통해 2019년(70.5%)대비 8.2%p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GAP, 친환경인증 농산물 생산 증가 등의 영향으로 국내 농약사용량은 지속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농약 사용량은 2019년 16.7천톤으로 ’06년 24.1천톤 대비 30.7% 감소하였고, 농경지 단위면적(ha)당 농약 사용량도 2019년 10.2kg으로 ’06년 12.9kg 대비 20.9% 감소하였다.
농관원에서는 ’21년 GAP인증 농가 및 재배 면적, GAP 관리시설 확대 등 GAP 생산.유통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추진한다.
[생산기반 확대]
① ‘GAP 인증 기준 등’ 보완 및 GAP 인증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관리를 강화한다.
② GAP인증 농가 및 관리시설 확대를 위해 농가 등을 대상으로 GAP 인증 컨설팅을 확대하고, GAP 인증 전문가를 육성한다.
[유통기반 확대 및 소비촉진]
③ GAP인증 농산물 홍보 및 급식주간 운영, GAP 우수사례 확산, GAP 농산물 체험행사 등을 통해 소비를 촉진한다.
④ 일반 농산물을 GAP인증 농산물로 둔갑 판매하거나 GAP 인증품으로 오인할 우려가 있는 광고행위 등에 대한 단속을 강화한다.
농관원 이주명 원장은 “농관원에서는 사람과 환경을 중시하는 농정의 기본방향 하에서 국민들이 농산물을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GAP 농산물 생산.유통기반을 지속 확대하고, 철저한 사후 관리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강조하면서 소비자에 대해 사람과 환경을 중시하는 GAP, 친환경 등 인증 농식품의 가치를 인식하고, GAP 등 인증 농산물에 대한 소비를 확대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저작권자ⓒ 투데이1.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