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원은 매년 연구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해 실시한 것으로 5개 분야 70건이다.
연구결과 중 대표적인 것은 「제조업 끼임 사망사고 감축 및 사업장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로, 2016년부터 4년간 끼임 사망사고 중 273건에 대해 심층적인 사고 원인을 분석하고, 63개 사업장에 대해서 현장 방문 조사를 수행했다.
분석 결과 끼임 사망사고의 주요 원인은 ‘방호장치 제거’나, ‘정비·수리 시 운전정지 미실시’등이었으며, 정부의 관리 감독 전후로 끼임 재해가 감소하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했다.
다른 연구과제인 「장시간 노동으로 인한 건강장해 및 과로사 예방방안」에서는 택배 노동자의 평균 업무시간을 도출하고 건강검진 수검률 등 건강 관련 노동실태를 파악해 재해 예방을 위한 노동환경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엘리베이터 설치와 유지보수 시 안전작업기준 및 전용발판 개발」 연구에서는 추락사고 위험이 큰 승강로 내부에서 안전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전용 시스템 비계’를 제안하고, 실제 시제품을 개발하는 성과를 냈다.
이외에도 연구원은 건설업 산업재해 감소, 화학공장 화재·폭발 사고사례 원인분석 등 사고사망 감소를 위한 연구를 비롯해, 코로나19 등 공기매개 감염병에 관한 연구, 석탄화력발전소 유해인자 위험도 평가, 말 관리사 폐암 발생 원인 실태조사 등 산업재해 이슈와 관련한 실태를 파악하고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등 유의미한 연구를 수행했다.
70건의 연구보고서 원문과 함께 각각의 연구 결과를 요약한 「산업안전보건연구요약집」은 공단 연구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은아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은 “급변하는 안전보건 환경변화에 발맞춰 산재예방 정책을 수립하고 실용화, 사업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연구·개발을 통해 정책 및 사업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투데이1.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