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신임 당대표로 장동혁 의원이 선출됐다. 이에 그간 잠재돼 있던 당내 강경 보수 세력의 영향력이 더욱 공고해졌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른바 ‘반탄파’의 선봉에 서왔던 장 의원 당선은 “내란의 힘을 자처하며 무너지는 것”이라는 민주당의 일갈처럼 혹독한 평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장 신임 대표가 주장하는 보수적 정체성의 강화는 국민 대다수가 우려하는 극우화의 길로 치닫는 위험한 신호탄에 가깝기에 더욱 그렇다.

장 대표의 당선은 '아스팔트 보수'로 대변되는 당내 강성 보수층과, 전한길 등 이른바 ‘윤 어게인’을 외치던 극우 유튜버들이 결집한 결과로 풀이된다.
장 대표는 스스로 '극우'라는 표현을 좌파의 프레임으로 치부했지만 오히려 그간의 행보를 보면 짐작이 간다.
특히 당선 직후 "윤석열 전 대통령 면회 약속을 지키겠다"고 한 발언은 보수 유튜버의 지지에 힘입은 결과임을 숨기지 않은 것이다. 그러면서 특정 세력에 경도된 편향성을 여실히 드러냈다.
이는 건강한 보수 정당으로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길을 대신, 극단적 지지층만을 대변하는 정당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를 증폭시킨다.
신임 장동혁 지도부는 출발선부터 ‘윤석열 대리인’이라는 꼬리표를 달게 됐다. 이미 국민의힘은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 사퇴 이후 지도부 공백 상태를 겪으며, 특정 세력의 입김이 강해지는 양상을 보여왔다.
이런 상황에서 장 대표의 등장은 당정 관계의 건강한 견제와 균형 대신 강경한 당 운영을 예고하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여당과의 극단적 대치 국면을 심화시키며 협치를 통한 동력을 상실하게 할 지도 모른다.
결국 국민의 의식과는 거리감이 있는 이념적 편향성과 세력 다툼에만 몰두하는 구태 정치의 반복은 아닐지 심히 우려된다.
장동혁 신임 대표와 국민의힘 지도부는 지금이라도 냉철한 자기 성찰을 통해 '극우의 힘'이 아닌 '국민의 힘'을 지향하는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와야 한다.
국민이 아닌 특정 지지층에 몰두한 방법으로는 국민적 의구심과 불신을 해소할 수 없다. 윤어게인이나 온니윤을 고집하다가는 국민의 힘이 아닌 내란의 힘으로 지목돼 대여 관계의 정치 지형에 고립을 자초할 뿐이다. 국민의힘이 어떤 길을 택할지 지켜볼 일이다.
[저작권자ⓒ 투데이1.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