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선정 ‘탄소 중립 핵심 10선’ 발표
경기도는 도민이 직접 선정한 ‘탄소중립 이행 10대 중요정책’을 공개했다.
지난달 31일까지 진행된 온라인 투표에는 도내 31개 시·군에서 총 1,187명이 참여했으며, 도민들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책별 우선순위에 대해 명확한 의견을 보였다.
이번 투표는 제1차 경기도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의 22개 전략, 159개 세부사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7월 24일 공론장을 거쳐 도민 정책검토단 69명이 온실가스 감축 효과와 정책 수용성을 기준으로 부문별 중요사업을 선정했다. 이후 7월 26일부터 31일까지 온라인 투표로 최종 10개 사업이 결정됐다.

도민이 선정한 10대 정책에는 친환경농업 확대, 학교 RE100, 환경영향평가 심의 대상사업 제로에너지빌딩(ZEB) 인증 의무화, 생활자원회수센터 설치 지원 및 현대화, 로컬푸드 직매장 개설 지원, 자원순환마을 만들기, ‘도시숲’ 생태적 리모델링, 도시생태축 복원, 장례식장 다회용기 사용 활성화 지원, 기존·신규 산업단지 RE100 등이 포함됐다.
2025년 관련 예산 분석에 따르면 ‘학교 RE100’ 사업은 2025년 예산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으며, ‘도시숲 생태적 리모델링’, ‘기존 산업단지 RE100’, ‘자원순환마을 만들기’, ‘로컬푸드 직매장 개설 지원’ 등의 예산도 계획 대비 줄어들었다.
‘환경영향평가 심의 대상사업 ZEB 의무화’와 ‘신규 산업단지 RE100’은 예산이 편성되지 않았지만 이행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반면 ‘친환경농업 확대’와 ‘도시생태축 복원’은 예산이 증액됐으며, 기존 기본계획에는 없던 ‘장례식장 다회용기 대여·세척 서비스 지원’ 사업이 새롭게 추가됐다.
경기도 내 기후시민단체들은 이번에 선정된 10대 사업에 대해 2026년 예산 편성 시 기본계획안보다 높은 수준의 예산 확보를 요구할 예정이며, 매년 탄소중립 기본계획 이행평가 과정에 도민 의견 반영과 정책 우선순위 점검을 이어나갈 방침이다.
이번 공론화 사업은 기후위기 경기비상행동, 경기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 경기시민햇빛발전협동조합협의회가 공동 주최하고 도민 기획단 11명이 참여했다.
기후위기 경기비상행동 관계자는 “도민 평가와 의견이 제도적으로 반영돼야 하며 앞으로도 공론화 과정을 통해 도민과 함께하는 탄소중립 정책 이행 점검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투데이1.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