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첨지위 승계가 실질적 대책”… 현장집회 통해 주장
운정3지구 운정중앙역 주상복합 아파트(주복) 3·4블록 사전청약 당첨자들은 사전청약피해자비상대책위원(사청 비대위)를 구성하고 현장집회 등을 통해 '실질적인 대책인 당첨 지위 승계'를 촉구하고 나다.
17일 사청 비대위는 정치권이나 파주시 등 대안 마련에 나섰지만 핵심에서 벗어난 대책일 뿐이라며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청약통장 부활 방안에 대해 심각한 우려와 규탄의 목소리를 낸다"면서 당첨지위 승계를 재차 촉구했다.

사청 비대위는 성명서에서 "정부의 불확실한 태도는 시행사들이 결정을 미루거나 상황을 관망하게 만들고 있으며, 이는 사청 당첨자들에게 추가적인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며 "사청 사업의 지연과 취소는 단지 시행사의 책임이 아닌 이를 방조하는 국토부의 무책임한 행정이 만들어낸 결과"라고 비판하면서 정부와 한국주택토지공사(LH) 등에 대해 실제적인 대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사청 비대위는 "사청 당첨자들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국토부 등 정부가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할 때까지 모든 수단을 동원해 싸워 나갈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성명서를 마쳤다.
사청 비대위 관계자는 "당첨자들은 정부의 청약 시스템을 통해 공정하게 경쟁해 당첨된 자격을 보유한 상태였으므로, 청약 지위를 복구해주는 것이 마땅하며, 이로 인해 발생한 피해를 회복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안"이라며 "민간 사청 당첨 후 청약통장 납입이 정지된 것은 10월 1일 개정된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에 따라 민간 사청 중복 청약이 허용된 이후, 밀렸던 금액이 자동으로 납입 처리돼 이미 출금된 상태"라고 설명하면서 "따라서 국토부는 청약통장 부활이라는 피상적인 대책이 아니라, 당첨자들의 권리를 보장하는 실질적인 당첨지위 복구 대책을 마련해야 하기에 사청 취소 당첨자들의 청약 당첨 지위 복구를 강력히 요구하는 것은 당연한 권리"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투데이1.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