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규모 노후 건축물 직권 안전점검은 노후도와 구조별 순으로 구에서 대상 건축물을 지정해 실시한다. 2020년 1800동을 시작으로 6년째 사업을 이어가고 있으며, 노후 소규모 건축물이 밀집한 구도심 특성상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가장 많은 약 6300만원 시비 보조금을 확보해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법정 정기점검 의무 대상이 아닌, 연면적 3000㎡ 이하이면서 최초 사용승인 이후 30년이 지난 건축물이 이번 직권 안전점검 대상이다. 다만, 구조적 안전성과 무관한 배관 누수 등 단순 시설물 하자, 개별 법령에 의해 별도로 점검 의무가 부여된 건축물, 재개발 등 정비구역 내 건축물은 점검대상에서 제외한다.
점검은 건축분야 전문가가 현장에서 서울시 소규모 노후 건축물 안전점검표를 활용해 진행한다. 건물의 ▲주요구조체(주요 부재의 구조적 기욺, 균열, 손상 여부 등) 8개 항목 ▲부대시설(축대, 옹벽, 담장 등 안전상태) 4개 항목 ▲비구조체(문틀 뒤틀림, 외벽 탈락 등) 3개 문항 ▲기타(옥상 및 실내 과적 여부, 돌출물 탈락 현상 등) 4개 항목 등을 확인한다.
점검 결과는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불량의 5개 등급으로 산정하고 안전조치·유지관리 방법 등 전문가 조언을 함께 제시한다. 붕괴 우려가 높은 미흡이나 불량 등급을 받은 건축물은 정밀안전점검(진단) 이행을 안내할 예정이다.
지난해 실시한 1300여 동의 직권 안전점검 중 1개 동이 '미흡' 등급으로 판정돼, 구는 해당 건축물 소유자에게 보수·보강 조치를 안내했다.
한편, 구는 직권 안전점검과 함께 ‘찾아가는 소규모 노후 건축물 안전점검’도 병행하고 있다. 찾아가는 안전점검은 건물주나 건물 관리주체가 신청한 건축물 중 선정해 실시한다. 올해 1~4월에는 총 5곳을 방문해 점검을 진행했으며, 모두 ‘보통’ 등급으로 확인됐다. 올해 말까지 총 40여 곳을 점검할 예정이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용산은 노후 소규모 건축물이 밀집한 지역인 만큼, 선제적인 안전점검을 통해 구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앞으로도 촘촘한 현장점검과 사후 관리로 생활 속 안전망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투데이1.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