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 판정' 최다 건설사 20곳 중 4곳 상위 20위권

최정석 기자

standard@gsdaily.co.kr | 2025-07-02 17:40:07

최근 6개월 동안 하자 판정 건수 1위 한화
하자판정비율 2020년 49.6%→올2월 79.7%

국토교통부가 최근 공개한 공동주택 하자 판정 현황에 따르면, 최근 6개월간(2024년 9월~2025년 2월) 하자 판정 건수가 가장 많은 건설사 20곳 중 4곳이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상위 20위권 내 대형 건설사로 확인됐다.

이번 결과는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 신청된 공동주택 하자 처리 내역과 2025년 상반기 하자 판정 결과를 토대로 집계된 것으로, 국토부는 2023년 9월부터 건설사별 하자 현황을 반기별로 정기적으로 공개하고 있다.

▲아파트 건설현장. 기사 특정사실과 무관함. (사진=pexels)

최근 6개월 동안 하자 판정 건수 1위는 한화로 97건을 기록했다. 이어 현대건설이 81건, 대우조선해양건설이 80건, 한경기건이 79건, 삼부토건이 71건 순이었다. 

이 가운데 한화(11위), 현대건설(2위), 대우건설(3위, 20건·14위), 코오롱글로벌(19위, 17건·18위) 등 4곳은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상위 20위권 건설사다.

5년 누계 기준(2020년 3월~2025년 2월)으로는 GS건설이 1,458건으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계룡건설산업(603건), 대방건설(507건), 대명종합건설(349건), SM상선(332건) 등이 상위를 차지했다.

누적 집계 기준으로 상위 20곳 중에는 GS건설, 계룡건설산업, 대우건설(319건), 현대엔지니어링(271건), 현대건설(266건), 롯데건설(158건), 한화(183건) 등 대형사도 다수 포함됐다. GS건설의 경우 5년 누적 하자 건수 중 96%인 1,404건이 2023년 이전 샤시 결로 하자 판정받은 2개 단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한 결과로 분석된다.

이 밖에도 하자 판정 비율이 높은 건설사는 상대적으로 공급 가구 수가 적은 중소 건설사가 많았다. 삼도종합건설(800%), 서해종합건설(650%), 아이온산업개발(333.3%) 등이다. 5년 누적으로는 지우종합건설(2,660%), 삼도종합건설(1,687.5%), 혜성종합건설(1,300%) 등이 최상위였다.

지난해 하자 심사 건수는 1,774건이었고, 이 중 78.9%인 1,399건이 실제 하자로 판정됐다. 하자 판정 비율은 최근 꾸준히 상승세로, 2020년 49.6%에서 2022년 72.1%, 올해 2월 기준 79.7%로 높아졌다. 국토부는 공동주택 하자사례집 발간, 하자 분쟁 관련 판례 축적, 입주자들의 하자 인식 제고 등으로 적극적인 하자 제기와 분쟁 조정 절차가 증가한 결과로 보고 있다.

주요 하자 유형으로는 기능 불량(15.2%), 들뜸 및 탈락(13.8%), 균열(10.3%), 결로(10.1%), 누수(7.1%), 오염 및 변색(6.6%) 등이 꼽혔다.

국토부는 “하자 판정 상위 건설사 명단 공개를 통해 대형사들이 하자 보수에 적극 대응하고 하자 분쟁도 줄어드는 효과를 보고 있다”며 “국민의 알 권리를 강화하고 건설사 품질 개선 유도를 위해 하자 관련 자료를 지속적이고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 투데이1.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